Blog | Tag | Local | Media | Guest | Login  RSS





달관한 사람에게는 괴이한 것이 없으나, 속인들에게는 의심스러운 것이 많다. 이른바 ‘본 것이 적으면 괴이하게 여기는 것이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찌 달관한 사람이라 해서 사물들을 일일이 찾아 눈으로 직접 보았겠는가.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눈앞에 그려 보고, 열가지를 보면 백가지를 마음속으로 상상해 보았을 뿐이다. 천만 가지 괴기한 현상이란 도리어 사물에 잠시 붙은 것이고, 제 자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이 한가롭게 여유가 있으며, 사물에 응수함이 무궁무진하다.

반면 본 것이 적은 자는 해오라기를 기준으로 까마귀가 검다고 비웃고, 오리를 기준으로 두루미가 다리가 길다고 위태롭게 여긴다. 그 사물 자체는 본디 괴이할 것이 없는데 저 혼자 화를 내고, 한 가지 일이라도 제 생각과 같지 않으면 만물을 모조리 모함하려 든다.

아! 저 까마귀를 보라. 그 깃털보다 더 검은 것이 없건만, 홀연 유금乳金색이 번지기도 하고 다시 석록石綠색을 발하기도 한다. 해가 비치면 자주색이 튀어 올라, 눈에 어른거리다가 비취색으로 바뀐다. 그렇다면 내가 그 새를 ‘푸른 까마귀’라 불러도 될 것이고, ‘붉은 까마귀’라 불러도 될 것이다. 그 새에게는 본래 일정한 색이 없는데도, 내가 눈으로 먼저 그 색깔을 정한 것이다. 어찌 단지 눈으로만 정했으리오. 보지도 않고서 먼저 마음속으로 정해 버린 것이다.

아! 까마귀를 검은색에 가두어 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거늘, 다시 까마귀를 기준으로 이 세상의 모든 색을 가두어 두려는 구나. 까마귀가 과연 검기는 하지만, 앞서 말한 푸른색과 붉은색이 까마귀의 검은색 중에 들어 있는 빛인 줄 누가 또 알겠는가. 검은색을 일러 ‘어둡다’고 하는 것은 비단 까마귀만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검은색이 무엇인지조차도 모르는 것이다. 왜냐하면 물은 검기 때문에 사물을 비출 수가 있고, 옻칠도 검기 때문에 거울처럼 비추어 볼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색이 있는 것 치고 빛이 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형체가 있는 것치고 맵시가 있지 않은 것이 없다.

미인을 살펴보면 시를 이해할 수 있다. 그녀가 고개를 나직이 숙이고 있는 것은 부끄러워하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고, 턱을 고이고 있는 것은 한스러워하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홀로 서 있는 것은 누군가 그리워하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고, 눈썹을 찌푸리고 있는 것은 시름에 잠겨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무언가 기다리는 것이 있으면 난간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이고, 무언가 바라는 것이 있으면 파초 아래 서 있는 모습을 보인다.

만약 또 그녀에게 재계齋戒하듯이 단정히 서 있지 않는다거나, 소상塑像처럼 꼼짝하지 않고 앉아있지 않는다고 나무란다면, 이는 양 귀비楊貴妃더러 치통을 앓는다고 꾸짖거나 번희樊嬉더러 쪽을 감싸 쥐지 말라고 금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사뿐대는 걸음걸이(蓮步)를 요염하다고 조롱하거나, 손바닥춤(掌舞)을 경쾌하다고 꾸짖는 격이다.

나의 조카 종선宗善은 자가 계지繼之인데, 시를 잘 지었다. 한 가지 법에 얽매이지 않고 온갖 형식을 두루 갖추어, 우뚝이 우리나라의 대가가 되었다. 성당盛唐의 시풍인가 하면, 어느새 한나라, 위나라 때의 시풍이 되고, 또 어느새 송나라, 명나라 때의 시풍이 된다. 그래서 ‘송나라, 명나라 때의 시풍이로군’하고 말하기가 무섭게, 다시 성당의 시풍을 띠고 있다.

아아! 세상 사람들이 까마귀를 비웃고 두루미를 위태롭게 여기는 것이 너무도 심하건만, 계지의 정원에 있는 까마귀는 홀연 푸르렀다 홀연 붉었다 한다. 세상 사람들은 미인을 재계하듯이 서 있거나 소상처럼 앉아있게 만들려고 하지만, 손바닥 춤이나 사뿐대는 걸음걸이는 날이 갈수록 경쾌하고 요염해진다. 쪽을 감싸 쥐거나 치통을 앓는 모습도 각기 맵시를 갖추고 있다. 그러니 세상 사람들이 날이 갈수록 화를 내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세상에는 달관한 사람은 적고 속인들만 많으니,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쉬지 않고 말을 하게 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아!



연암노인
燕巖老人이 연상각烟湘閣에서 쓰다.

(菱洋詩集序)